출처
백준 온라인 저지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B×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A × B × C 값이 17037300이라면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같거나 크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풀이
A x B x C 값을 구해주고 문자열로 만들어줍니다.
for 문을 0부터 9까지 돌려줍니다.
해당 숫자에 해당하는 단어의 개수의 값은 0으로 지정해줍니다.
나머지 for 문에서는 구한 값의 길이를 기준으로 돌려 해당 i와 일치하는 문자를 찾아 count 값을 올려준 후 결괏값을 출력해줍니다.
코드
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let num = String(input[0] * input[1] * input[2]);
for (let i = 0; i <= 9; i++) {
let count = 0;
for (let j = 0; j < num.length; j++) {
if (Number(num[j]) === i) {
count++;
}
}
console.log(count);
}
다른 방식
split 메서드를 사용해보았습니다.
for 문을 0부터 9까지를 돌려주고 곱한 값을 해당 i를 기준으로 나눠줍니다. 그럴 시 i를 기준으로 나뉜 값이 배열로 나뉘게 됩니다.
배열의 개수가 해당 i와 일치하는 수의 개수가 될 것입니다.
(split 메서드로 나눈 배열이니 -1을 해줍니다.)
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let num = String(input[0] * input[1] * input[2]);
for (let i = 0; i <= 9; i++) {
console.log(num.split(i + '').length - 1);
}
split 메서드로 나눈 배열에 -1을 하는 이유
split 메서드로 문자열을 나눌 시 기준이 되는 문자를 기점으로 모든 문자열이 배열로 나뉘게 됩니다.
"aBaaaaa". split("B")의 결과는 ["a", "aaaaa"]이 나오게 됩니다.
즉 B의 개수는 하나이지만 나오는 배열의 값은 2개가 됩니다. 이를 -1을 하여 개수를 맞추어줍니다.